![GMGMGM11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Onvpk/btqTqINHFnE/Yy2kkmxvcpV70Pezs7pcXK/img.jpg)
GM 주가 전망 :: 제너럴 모터스 주식, 매수해도 될까?
관련글보기
안철수 관련주는 ? (ft. 안철수 대장주, 수혜주, 써니전자 주식, 안랩 주가, 까뮤이앤씨)
목 차
01 투자 포인트
02 목표주가 및 리스크 점검
General Motors
01 투자 포인트 (GM, 제너럴 모터스)
지난 12일 GM은 온라인으로 개최된 세계 최대 IT·가전 전시회인 'CES2021'에서 "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 프로그램에 270억 달러(우리 돈 약 30조) 이상을 투자할 것."이라며 미래 모빌리티 전략을 공개하였습니다.
이날 공개된 GM의 모빌리티 전략에 대해 핵심만 짚어보겠습니다.
01 자율주행 기반의 배송용 전기트럭 서비스 '브라이트 드롭'
![GMGMG21224M11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T2az/btqTtqMsykb/7Uo8k7eUbSuMGh4eOBm9Pk/img.jpg)
-
브라이트 드롭은 짐을 싣고 단거리를 이동하는 'EP1'과 EP1을 싣고 중·장거리를 이동하는 전기 밴 EV600으로 구성됨.
-
택배 배송 기사가 EV600을 몰고 배송지로 이동한 뒤 EP1을 꺼내면, 택배 상자를 품은 EP1이 배송 기사를 따라감. EP1은 최대 90kg의 화물을 싣고 초당 3m 속도까지 운행 가능.
-
배송 기사가 화물을 직접 운반하지 않아도 되기에 체력 부담은 줄고 더 많은 물품을 운송할 수 있게 됨.
02 자율주행 기술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Rlet/btqTrSbg0oG/CtgAiTX8TMQV07nZKrB1G1/img.jpg)
![GMGMGw212M11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qEvo/btqTwXJMuLw/luGudvCOkvOClvihW4lqA1/img.jpg)
-
제너럴 모터스는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능을 적용한 캐딜락 콘셉트카와 도심 항공 모빌리티 콘셉트도 공개함. 네모난 상자를 연상시키는 콘셉트카는 소파를 갖춘 거실과 같은 실내를 갖추고 있음.
-
도심항공모빌리티 콘셉트는 1인승 전기 수직 이착륙(eVTOL) 드론 형태를 갖췄으며, 90 kWh 전기 모터를 통해 4개 로터를 작동시켜 도심 항공을 비행한다는 구상.
-
심코 부회장은 "도심 항공 모빌리티에 대한 GM의 첫 번째 시도"라며 "이들(자율주행 콘셉트카와 도심항공 모빌리티 콘셉트)은 모두 캐딜락의 'Halo 포트폴리오'의 일환이며, 5년 뒤 미래를 이끌 모빌리티"라고 설명하였음.
03 전기차 전용 차세대 얼티엄 플랫폼
![GMGMG21M241211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fTj8z/btqTDc0aPkv/ENHkH71fqhjjzzWF2x8rzk/img.jpg)
-
배터리 장착 형태에 따라 차급과 차종의 한계를 넘어 크로스오버 유틸리티 차량(CUV),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(SUV), 픽업트럭 등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음.
-
완충 시 최대 450마일(약 725km) 주행이 가능하며 고성능 모델의 경우 제로백(정지상태에서 100km/h까지 이르는 시간) 3초를 구현.
-
GM은 지난해 LG화학과 협력을 통해 고성능 배터리를 확보한 상태.
GM은 2025년까지 미국에서 택배와 음식 배달 및 역물류에 대한 시장 기회를 합치면 총 8,500억 달러가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
세계 경제 포럼에 따르면 e-commerce를 통한 도심지역의 라스트 마일 배송 수요는 2030년까지 약 78%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, 이에 따라 세계 100대 도시의 배송 차량 또한 36%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
동시에 이 같은 수요의 증가는 배송 관련 탄소 배출량을 3분의 1 가까이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되므로, 브라이트 드롭은 이처럼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통합 솔루션 세트를 개발할 계획인 것입니다.
![GM2124GMGM112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WhVJ/btqTrTnNNYR/mBUkLyLASkkQhWUKqWKRt1/img.jpg)
02 목표주가 및 리스크 점검
현재 GM은 구조조정이 완료되었으며, 두드러지는 수익성과 ROE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
3 Q20 기준 OPM 12.5%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 내에서 가장 높은 수익성을 기록하였으며, 2021년-2022년에 OPM과 ROE의 측면에서 테슬라와 2 TOP을 예상합니다. 이는 구조조정과 믹스 향상, 옵션 선택률 증가가 유효했다고 판단됩니다.
GM은 2021년과 2022년에 최대 수익과 ROE가 전망되고 있음에도 Valuation은 P/E 7.3배, P/B 1.2배(Bloomberg)로 저평가 상태입니다.
3Q20에 글로벌 판매대수는 179.9만대로 YoY 기준 -4% 감소하였으며, 지분 법대 상인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판매대수는 102.1만대로 YoY 기준 -15.3% 감소. 결국 북미 실적이 견인하였는데, 북미 판매대수는 -10% YoY에도 불구 영업이익 +44% YoY 증가하였음.
지금은 코로나 19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하며, 판매량이 점차 제자리를 찾아갈 것으로 보여 개인적으로 동종업계 대비 여전히 저평가되어있다고 판단됩니다.
# 아래 글 또한 추천합니다.
관련글보기
# 이상으로 제너럴 모터스(GM)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위 글은 특정 종목의 매매를 추천하는 글이 아닙니다.
투자에 대한 손실 및 이익에 대해서는 모두 본인의 몫입니다. 감사합니다.